농심 : 에스키모밥
퇴근 후 집앞에 위치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를 주기적으로 방문한다.
구매 품목 대부분이 과자류인데, 농심에서 새로운 스낵이 출시되어 구매를 해보았다.
제품명이 "에스키모밥" 이다. 부제로 [에스키모가 사랑한 랍스터] 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모양은 랍스터를 본따 만들어져 있다.
# 가격 : 현재 할인해서 1,000 원 (홈플러스 기준)
# 맛 : 칠리 소스를 베이스로 만들어져서 매콤하다. 계속 얼얼함이 남아 있다.
랍스터 맛은 그닥 느낄 수 없다. 맛살 풍미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새우깡과는 다른 맛이다.
딱딱하지 않고 폭신하다.
재구매 의사가 전혀 없다. 출시되자 마자 할인 품목에 포함되어 있는 이유를 단박에 알아 버렸다.
돈 버렸다.
# 청결도 : 질소 포장 제품.
'일상다반사 > 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 : 롯데 아울렛, 이케아 / 일치프리아니 (0) | 2019.03.06 |
---|---|
행주산성 : 카페델라프레스 (0) | 2019.02.27 |
투썸플레이스 :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케이크 (0) | 2019.02.22 |
응암 오거리 : 차이몬스터 (0) | 2016.12.09 |
은평구 신사동 : 퓨전포차 문 (MOON) (0) | 2016.12.09 |
투썸플레이스 :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케이크
2월은 와이프님의 생일이 있는 달이다.
투썸플레이스에서 판매되는 케이크들이 평이 높아서 본가에 와있던 형에게 구매를 요청하였다.
인기가 많은 제품은 판매 소진이 빠르다고 하여 부득이하게 가족 찬스를 이용하였다.
본가에서 저녁 식사 후, 케이크 시식을 해보았다.
인터넷에서 본 평가대로 만족스러운 상품이었다.
2만원 중반대의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다면, 종종 구입이 가능할 것 같다.
물론 재고가 있을 경우에 한해서이나, 집에서 차로 5분 거리에 두 개가 있으므로 운때만 맞으면 가능 할 것 같다.
# 가격 : 31,000 원
# 맛 : 냉동 배송 된 상품을 해동 후 판매하는 방식 같은데, 상당히 맛이 좋았음. 다만, 딸기가 너무 달아서 두 개 이상은 먹기 꺼려짐.
다른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제품과 비교시 퀄리티 높음.
초코 크림이 다른 브랜드들과 확연히 다름. 맛이 진하고 적당한 당도를 갖고 있음. 주관적으로 굉장히 좋았음.
# 청결도 : 좋았을 것으로 추정. (대기업 프랜차이즈)
'일상다반사 > 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주산성 : 카페델라프레스 (0) | 2019.02.27 |
---|---|
농심 : 에스키모밥 (0) | 2019.02.23 |
응암 오거리 : 차이몬스터 (0) | 2016.12.09 |
은평구 신사동 : 퓨전포차 문 (MOON) (0) | 2016.12.09 |
응암 오거리 : 강남 곱창이야기 (0) | 2016.12.08 |
WSUS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를 통한 윈도우 업데이트 진행
일반적으로 윈도우 데스크탑, SERVER OS 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MS 에서 매달 제공하는 윈도우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MS 서버에 등록 된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 및 설치를 하게 되는데, 해당 기능을 업데이트 전용 서버 구축을 통해 내부적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윈도우 서버에서 제공하는 WSUS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구축 및 테스트를 진행한다.
구성 서버 : WSUS 기반 서버 (W1) / 클라이언트 서버 1 (C1) / 클라이언트 서버 2 (C2)
OS : Windows 2012 R2 STD
# 1 서비스 설치
W1 서버 관리자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
Default 로 쭉쭉 간다.
컨텐츠 위치 선택에서 임의 지정한 경로를 입력한다.
IIS 설치 관련도 그냥 Default 로 간다.
설치 완료 후,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그냥 실행 하면 된다.
설치 완료까지 시간이 소요 될 수 있다.
설치 마법사 나오는데 또 Default 로 간다.
업스트림 서버에 연결 부분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 같다. 서버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라질 것 같다.
언어 선택도 그냥 Default 로 간다.
업데이트 제품 선택이 나오는데 Default 로 정해진 옵션을 사용해도 되고, 원하는 항목을 추가해도 된다.
선택 항목에 따라 다운로드 해야하는 파일이 증가한다.
테스트 목적이기 때문에 Windows Server 2012 R2 항목만 체크했다.
업데이트 제품은 나중에도 추가, 제거 가능하다.
업데잍 등급 선택이 나오는데 이것도 나중에 추가, 제거 가능하니깐 Default 로 간다.
동기화 일정도 본인이 편한대로 하면 된다. 대부분 자동을 선택하겠지만.
마무리 단계에서 초기 동기화 시작을 체크하고 다음을 진행한다.
업데이트 서비스 실행하면 이런 화면을 볼 수 있다. 추가 구성은 클라이언트 세팅 후 한다.
# 2 클라이언트 환경 설정
C1, C2 에서는 W1 에서 업데이트 항목을 받아오는 설정을 진행해야 한다.
실행에서 gpedit.msc 입력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업데이트 - 인트라넷 Microsoft 업데이트 서비스 위치 지정 선택
상태 : 사용
옵션에는 W1 의 주소값을 입력한다. (ex: http://W1:8530) / 내 경우에는 hosts 파일에 아이피 호스트명을 직접 등록했기 때문에 예시와 같이 설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http://192.168.1.5:8530 으로 입력한다.
설정 했으면 실행에서 gpupdate /force 입력해서 적용해준다.
레지스트리에서 확인하면 아래와 같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업데이트 실행하면 "시스템 관리자가 관리합니다." 로 변경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하단 "Windows 업데이트에서 온라인 업데이트 확인" 누르면 기존처럼 MS 업데이트 서버에서 다운로드 되니깐 본인 편한대로 하면 된다.
# 3 업데이트 항목 호출
W1 으로 돌아와서 컴퓨터 카테고리를 누르면 C1, C2 가 추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룹에 할당되지 않았기 때문에 "할당되지 않은 컴퓨터 그룹"에 자동으로 들어간다.
표시되는 정보는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그대로 갖고 오기 때문에 수정은 안 된다.
테스트용 그룹을 만들어서 그룹 이동을 진행한다.
그룹 구성원 변경 확인 되었다.
업데이트 카테고리- 모든 업데이트 - 전체 선택 - 우클릭 - 승인 - WSUS_TEST 그룹 선택 - 설치 승인
C1 을 선택 후 상태 보고서를 실행하면 업데이트 현황에 대해 확인 가능하다.
OS 설치 후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설치 내역을 확인 할수가 없다.
W1 을 통해 다운로드 및 설치 가능한 업데이트 항목을 확인 할 수 있다.
C1, C2 에서 업데이트 확인을 다시 누르면 설치 가능 업데이트 항목이 출력 된다.
WSUS 를 통해서 업데이트하면 수동으로 업데이트 승인 및 선택, 설치를 해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으나, 특정 업데이트만 설치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용 할 수 있다. (WSUS 에 해당 업데이트 파일이 존재해야 함)
물론 특정 업데이트도 MS 업데이트 카탈로그에서 검색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s://www.catalog.update.microsoft.com/Home.aspx)
MS 를 통한 보안 업데이트시에는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필요한 항목들에 대해서만 정보를 갖고 온다.
그러므로 가급적이면 MS 업데이트 사용을 권장한다.
폐쇄망 네트워크로 인해 외부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업체에서나 WSUS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지, 일반 네트워크 환경은 MS 업데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굳이 불편을 감수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간혹 MS 업데이트 서비스 비정상 작동으로 80072EE2 오류 코드 출력될 때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윈도우 이야기 > 업데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요) MS 2020.09월 보안 업데이트시 wsecedit.dll 호출 오류 발생 (0) | 2020.09.15 |
---|---|
2018.05월 MS 보안 업데이트 이후 원격 접속 (RDP) 불가 이슈 : KB 4093120 (1) | 2018.05.11 |
[랜섬웨어] 워너크라이 대비 보안 패치 KB4012598 (0) | 2017.05.15 |
Windows Update 중 80240016 오류 발생 (0) | 2016.07.20 |